개발자 키우기
DNS와 작동 원리 본문
DNS는 분산형 DB이며 계층적이라 최상단의 Root DNS가 존재한다
예를들어 www는 호스트 이름이고 naver.com은 도메인 이름이다
주소창에 www.naver.com 이라고 치면 첫번째로 PC메모리의 DNS케시(유효기간존재함)를 확인하고
여기에 없으면 두번째로 Host File을 확인하고 여기도 없으면
세번째로 공유기(DNS대리자처럼 행동/DNS 포워딩 기능을 제공)에서 확인하고 여기도 없으면
네번째로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ISP의 DNS 캐시를 확인한다 여기도 없으면 DNS 캐시는
최상단의 Root DNS에게 *.com에 관련된 DNS 목록을 요청하고 요청받을 것중
최적의 .com에게 naver의 목록을 요청한다.
요청받은 목록 중 naver에게 호스트가 www인지 확인하고 맞다면
이때 IP주소를 통신사 DNS 캐시가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한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의 Stateful과 Stateless (0) | 2023.07.01 |
---|---|
DHCP 할당 ( 유동 IP / 공인IP ) (0) | 2023.05.25 |
브라우저와 동작 원리 (1) | 2022.12.25 |
HTTP는 무엇일까요? (0) | 2022.12.25 |
인터넷은 어떻게 작동될까요? (0) | 2022.12.25 |